9월 17일 현재, 코로나19 전 세계 확진자 약 30,000,000명, 사망자 950,000명, 대한민국 확진자 약 22,000명, 사망자 372명.
감염 우려를 무릅쓰고 현장에 가장 먼저 달려가는 사람들이 있다.
[이상원 /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단장 (초대 역학조사관) : 특히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초동대응할 때 역학조사는 어떤 (감염병) 유행을 차단하고 나아가서 더 많은 인명을 구하는 가장 교과서적인 방법이기 때문에(중요합니다.) 지금 하는 방법론들도 역학에 있어 시조처럼 불리는 존 스노우의 방법에서 유래한 것들이 많습니다.]
1854년 영국 런던 소호, 10일 동안 500명이 원인 불명의 감염병으로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.
당시엔 감염병이 나쁜 공기나 악취로 퍼진다는 인식이 강했으나 과학적 근거는 없었다.
마취과 의사 존 스노우는 이 사태를 다른 시선으로 바라봤다.
그는 사망자 집을 지도에 표시하며 감염병을 추적했고 그 결과 펌프 중심으로 감염병이 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. 같은 곳에서 길어다 먹은 물이 문제였다.
사람들을 죽음으로 몰고 간 병의 원인은 콜레라였다. 펌프가 폐쇄된 후 감염병 확산은 멎었다. 이것이 역학의 시작이다.
[이상원 /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단장 (초대 역학조사관) : 1998년 우리나라에서 세균성 이질이 크게 있었는데 지금 (질병관리청) 청장님으로 있으신 정은경 청장님을 비롯해 (당시) 간부들께서 미국에는 역학조사관 제도가 있는데 왜 우리나라에는 이런 비슷한 제도가 없는가에 대해 굉장히 많이 고민하셨고, 처음으로 역학조사관 제도라는 것을 만들자(고 하게 됩니다.)]
2000년 홍역, 2001년 콜레라, 2003년 사스, 2015년 메르스 이 땅에 감염병이 유행할 때마다 역학조사관이 최전선에 있었다. 그들의 축적된 경험이 오늘날의 방역 성과를 만들어냈다.
[이상원 /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단장 (초대 역학조사관) : 2015년 메르스 같은 경우 최선을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생명을 지키지 못했습니다. 그에 대한 자책이랄까 좀 더 빨리 검사하고 좀 더 빨리 더 넓게 조사를 해야 한다는 경험들이 현재의 역학조사 체계를 이끌었습니다. (코로나19 발생 초기)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검사 체계를 갖추기 시작한 게 1월 4일이었는데, 그때가 원인 병원체에 대해 중국에서 발표하기 3일 전이었습니다. 다른 의료계에 계신 선생님들과 ... (중략)
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9190754067304
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
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
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